코딩/🐍 PYTHON
-
[PYTHON] Class코딩/🐍 PYTHON 2021. 8. 10. 16:30
Class : 코드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함. : 클래스 위주로 작성하는 것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메소드와 함수들의 집합이다. 긴말보다 코드부터 살펴보자. class Car: def __init__(self, maker, model, horse_poewer) self.maker = maker self.model = model self.horse_power = horse_power => 클래스 Car 는 maker, model, horse_power라는 공통요소를 가지고 있다. => 여기서 self 는 class의 실체 즉, 객체 (object)를 말하고 객체들은 이러한 공통요소를 가지고 있음을 말한다. 즉 class Car에 속한 객체들은 maker, model, horse_power 3..
-
[PYTHON] Dictionary와 Set, List와 Tuple코딩/🐍 PYTHON 2021. 8. 9. 15:22
Set과 Dictionary, List와 Tuple 참 비슷하지만 다른 구석이 있는 데이터 타입이다. 우선 가장 기초적인 데이터 타입이 되는 list부터 보자 arsenal = ["Tierny", "Ben White", "Gabriel", "Bellerín", "Partey", "Xhaka", "Aubameyang", "Smith Rowe" , "Saka", "Lacazette"] 리스트로 정보표현이 이름밖에 되지 않는다. 이름을 기준으로 좀더 데이터를 넣고 싶을땐 어떻게 할까? 이때 필요한게 Dictionnary 이다. 아시다시피 Dictionnary 형식 { KEY값 : VALUE값 } arsenal_tierney = { "실명" : "Kieren Tierney", "포지션" : "LB" } 이때 포..
-
[PYTHON] 위치인수와 가변인수, 키워드 가변인수코딩/🐍 PYTHON 2021. 8. 9. 11:18
1. Positional argument와 Variable length argument란 무엇일까? 위치인수(Positional argument)란 함수를 호출할때 매개변수에 순서대로 전달되는 인수 데이터의 위치가 매개변수의 순서인 인수인것이다. 그러나 가변인수는 인수의 개수가 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때, 가변인수를 전달받은 함수란 함수를 호출할때 인수의 개수가 다양하게 바뀌어 가면 사용할 수 있는 함수를 말한다. 쉽게 말해 데이터갯수에 제한이 없어지는 유동적인 함수가 되는 것이다. def hello(a, *args): print(args) return a + sum(args) >hello(1,2,3,4,5) 우선 딱봐도 hello 함수의 개수가 이상한걸 볼 수 있다. 2개밖에 안들어가야하는데 5개..
-
[PYTHON] Function Parameters코딩/🐍 PYTHON 2021. 8. 9. 03:39
함수의 파라미터란? [Python] 함수의 매개변수(parameter) 특징 - 기본값 & 가변형 매개변수 파이썬의 독특한 매개변수 parameter의 특징! 함수의 매개변수 parameter 함수 내부에서 만든 코드에서 필요한 값을 전달해야 할 때, 이를 매개변수로 받을 수 있 ychae-leah.tistory.com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 1. positional arguments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순서대로 적용하는 것 > schedule("점심밥","저녁밥") def schedule(lunch, evening): print(f"{lunch} and {evening}") > schedule("점심밥","저녁밥") 2. Keyword arguments 두번째로 argument의 이름을 직접 넣어주는 ..
-
[PYTHON] Source Lake코딩/🐍 PYTHON 2021. 8. 6. 16:08
📢 작성원칙 : 내가 모르는 것 위주로 쓰기 (기본문법은 링크로 대체) Print print와 f-string ⛓️ print print("hello World!") > hello World! f-string 문법형식 f"~~~~ {변수} ~~~~" ⛓️ print print ( f"~~~~ {변수} ~~~~" ) name = "'리오넬 메시'" print(f" 안녕하세요, {name} 입니다.") > 안녕하세요, '리오넬 메시' 입니다 Date Types String : 문자열 Integer : 정수 Float : 소수점 숫자 Complex Numbers : 실수와 허수를 포함하는 복소수 j 를 사용하여 표현 1 + 3j , 2 - 4j Boolean : True와 False 2가지 값으로 리턴 Var..
-
[PYTHON] 가변객체와 불변객체는 무슨 말일까?코딩/🐍 PYTHON 2021. 7. 7. 13:56
x = [1, 2, 3] y = x print(x is y) # True x += [4, 5] print(x is y) # True print(x) print(y) #[1, 2, 3, 4, 5] #[1, 2, 3, 4, 5] 가변객체는 무엇이고 불변객체는 무엇일까? 우선 이를 알아보기전에 가변객체, 불변객체에서 공통된 단어, 객체(Object)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파이썬에서 객체 단위로 메모리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객체들중 정보를 수정시킬수 있는 것이 가변객체 이러한 객체들중 정보를 수정시킬수 없는 것이 불변객체라고 말한다. 가변 list , set, dict 불변 int, float, bool, tuple, string, unicode 우선 list 와 tuple의 예시를 보며 살펴보자...